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식 차트(보조지표)활용으로 매수 매도구간 확인하기 - MACD 활용

by 머니유즈 2023. 8. 29.

주식 차트 보조지표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란 이평선의 수렴과 확산의 원리로 만들어진 가장 기본적이고 활용도가 높은 지표입니다. 파동에너지의 강도에 따라 추세의 지속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signal9라인과 함께 활용하여 매수 및 매도의 시점을 파악하는 지표 입니다.

 

반응형

 

1. MACD의 이해

MACD(이동평균수렴확산)지표는 1970년대에 미국의 투자전문가인 Gerald Appel이 개발한 기술적 분석도구입니다. Gerald Appel은 금융분야에서 활동하며 기술적 분석과 투자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인물입니다. MACD는 주식시장에서 추세와 전환점을 파악하는 데에 활용되고있습니다.

MACD에 사용되는 라인은 2가지입니다. 26일 이동평균선에서 12일 이동평균선을 뺀 수치로 계산되는 MACD라인과 9일간의 MACD지수 이동평균선인  signal9라인으로 표현합니다. 12일 이동평균선이 26일 이동평균선보다 위쪽에 위치하면 MACD라인은 양수가 되고, 주가가 상승하는 신호입니다. 반대로 12일 이동평균선이 26일 이동평균보다 아래에 있으면 MACD라인은 음수가 되고, 주가가 하락하는 신호로 여겨집니다. MACD의 기본개념은 영원한 추세 지속은 없고, 상승 또는 하락 에너지가 소멸하면 추세가 변경되고 에너지의 강도에 따라 추세의 지속성이 유지 또는 소멸되어 추세 변환을 예상할수 있습니다. 또한 MACD 지표에는 MACD 히스토그램이 표로 나타나는데 이는 MACD라인 signal9라인의 차이에 의해서 나타나는 그래프입니다. MACD 히스토그램이 양수 일 경우에는 매수신호 음수일경우 매도신호로 간주합니다.

 

2. MACD 신호의 강도 파악

MACD라인signal9라인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추세의 강도가 커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거리의 변화를 통해 추세의 강도와 함께 추세의 전환 가능성을 파악할수 있습니다. 가령 MACD라인 signal9라인이 역배열(하락추세)이며 이격 거리가 멀경우에는 하락에너지가 큼으로 추세 회복 또는 추세전환에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할수 있습니다. 이는 상승추세에서도 동일하게 해석합니다.

 

3. MACD의 주식차트 활용

MACD라인은 지수 이동평균의 개념으로 최근주가가 상승에너지가 강하면 MACD라인은 지속상승됨으로 데드크로스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승추세가 지속되고, 최근주가의 상승 에너지가 약하면 MACD라인은 미리 하락하고 signal9라인과 데드크로스가 발생하여 하락전환의 신호로 볼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주식에 대입하여 확인해 보겠습니다.

 

삼성전자 주식차트 MACD지표

 

위 주식차트와 같은 매수 및 매도 신호에 매매를 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주의할 점은 교차를 예상하고 당일 진입시 저항을 맞고 추가 하락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손절라인은 직전 돌파한 매물대로 정하는 것을 추천드리고, MACD라인을 끌어올리는 강한 파장이 생성된후 종가에 매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위 주식차트에 주의구간에 대해 체크해 놓았으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주식투자시 주의할 점은 주식차트에 생성되는 모든 지표가 그러하듯 지표는 항상 후행지표이고, 과거의 기록 및 현재의 주가변화를 토대로 생성되는것 임으로 절대적 지표는 없습니다. MACD지표의 단점은 지연되는 신호, 변동성에 민감한 단점, 단기효과의 강조, 변수선택의 어려움, 단일지표의 한계등이 있습니다. MACD지표가 주식시장을 대변하는것은 아니므로 다른 지표 및 정보들과, 거래량 및 거래대금을 확인하시고 투자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강한 파장은 오랫동안 유지되고 파장은 언젠가 소멸된다는 것이 이 지표의 이론이고 대부분의 주식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널리 사용되는 보조지표중 MACD의 이해와 활용법에 대해서 다뤄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RSI(상대강도지수)지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식으로 모두 성공하는그날까지 성투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