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기초 지식

주식 차트 이동 평균선 활용방법 - 기초

by 머니유즈 2023. 7. 19.

주식차트에서 이동평균선은 가격 데이터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시간에 따라 움직이는 선이므로, 이동평균선은 주식 가격의 추세와 변동성을 확인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기술적 분석도구입니다. 주식시장은 변동이 크기에 전체적인 흐름을 읽을수 있어야 리스크를 줄일수 있습니다.

이동평균선의 개념과 주식차트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기본 이동평균선(5/20/60/120)의 보기 및 기본 활용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1. 이동평균선의 개념

이동평균선은 일정기간동안의 가격 데이터의 평균값으로 차트상에 선으로 표시하는 선을 말합니다. 가격데이터를 평균화하여 장기적인 추세를 확인 하거나 단기적인 변동을 평준화 하는 선을 말합니다.

이동평균선의 종류로는 단순이동평균선과 지수이동평균선으로 나뉘며, 주식차트에 등장하는 5, 20일선(단기) / 60일선(중기) / 120일선(장기)의 단순이동 평균선을 말합니다. 이동평균선은 주가 추세파악, 지지/저항선, 매매신호등의 주가의 미래 해석을 직관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기술적 도구 입니다.

 

2. 이동평균선 정배열 과 데드크로스

이동평균선의 정배열은 이동평균선의 순서가 5일선 아래에 20일선 그다음 아래 60일선 제일 아래에 120일선이 위치한한 것으로 상승추세의 주식 차트에서 흔히 볼수 있는 이동평균선입니다. 이동평균선이 정배열일경우 유의하여야 할 것은 추세의 꺽임으로 인한 데드크로스 입니다.

 

 

위 차트에서 ①번에서 보이는 이동평균선의 순서가 이동평균선 정배열이고, ②번에서 보이는 5일선이 20일선을 가로질러 하방으로 진행하는 형태가 데드크로스입니다. 데드크로스가 발생할 경우 5일선 위에 20일선이 위치하므로, 20일선이 상승 저항선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해석할 수 있음으로 상승의 추세는 이어지기 어렵다고 참고 할 수 있습니다. 데드크로스 발생지점이 60일선 또는 120일선일 때도 똑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3. 이동평균선 역배열과 골든크로스

이동평균선의 역배열은 정배열과는 반대로, 이동평균선의 순서가 120일선 아래에 60일선 그다음 아래 20일선 제일 아래에 5일선이 위치한한 것으로 하락추세의 주식 차트에서 흔히 볼수 있는 이동평균선입니다. 이동평균선이 역배열일경우 주목 하여야 할 것은 추세전환으로 인한 골든크로스 입니다.

 

 

위 차트에서 ①번에서 보이는 것처럼 순서가 나열된 것이 이동평균선 역배열이고, ②번에서 보이는 5일선이 20일선 또는 60일선, 120일선을 가로질러 상방으로 진행하는 형태가 골든크로스입니다. 골든크로스가 발생할 경우 5일선 하단에 20일선이 위치하므로, 20일선이 지지선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해석할 수 있음으로 상승의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 기대 할 수 있습니다. 골든크로스 발생지점이 60일선 또는 120일선일 때도 똑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